ETC/ETC

정처기 정리

dev.pudding 2024. 2. 5. 18:01
728x90

유닉스/리눅스 로그 파일 중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 정보를 보여주는 로그 파일

- utmp/utmpx

 

자동반복 요청 방식(ARQ)의 종류 중 연속적으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고 에러가 발생한 데이터 프레임만 재전송하는 방식 

- Selective Repeat ARQ

 

---------------블랙 박스 테스트 --------------

요구사항의 논리와 발생 조건을 테이블 형태로 나열하여 조건과 행위를 모두 조합

- Decision Table Testing 

 

SW의 일부 또는 전체를 트리 구조로 분석 및 표현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하여 테스트 

- Classification Tree Method Testing 

 

입력 데이터 간의 관계와 출력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다음 효용성이 높은 테스트 케이스를 선정하여 검사 

- Cause-Effect Graphing Testing 

 

테스트 데이터 간에 최소한 한 번씩을 조합하는 방식

- Pairwise Testing 

 

IP 패킷의 재조합 과정에서 잘못된 Fragment Offset 정보로 인해 수신시스템이 문제를 발생하도록 만드는 DoS 공격 

- Tear Drop 

 

오류 제어에 사용되는 자동반복 요청 방식(ARQ) 중, 데이터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NAK를 수신하게 되면,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 이후에 전송된 모든 데이터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방식 

- Go-back-N ARQ 

 

 가상기억장치의 일반적인 구현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고정된 크기의 일정한 블록으로 나누는 ㄱ 기법과 가변적인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는 ㄴ 기법이 있다.

- ㄱ : Paging ㄴ: Segmentation

 

합법적으로 소유하고 있던 사용자의 도메인을 탈취함으로써 사용자들로 하여금 진짜 사이트로 오인하여 접속하도록 유도한 뒤 개인정보를 훔치는 행위

- Pharming 

 

정형 기술 검토(FTR) 지침사항

1. 제품의 검토에만 집중

2. 의제를 제한하여 진행

3. 참가자의 수를 제한하고 사전준비 강요

4. 문제 영역을 명확히 표현

5. 해결책이나 개선책에 논하지 말라

6. 검토의 과정과 결과를 재검토하라

7. 자원과 시간 일정을 할당

8. 모든 검토자들을 위해 의미있는 훈련을 행하라

9. 논쟁과 반박 제한 

10. 검토자들은 사전에 작성한 메모들을 공유하라 

 

작업시간이 가장 짧은게 먼저 수행 

- SJF = Shortest Job First 알고리즘 

 

인터페이스 데이터 포맷 중 데이터를 사람이 쉽게 읽을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 직렬화 양식

- YAML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밎 컴퓨터 관련 전자 제품의 버그, 보안 취약점 등 설계상 결함을 이용해 공격자의 의도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만들어진 절차나 일련의 명령, 스크립트, 프로그램을 사용한 공격 행위

- exploit 

 

이전의 유선 동등 프라이버시(WEP)의 취약점 때문에 그 대안으로 나온 프로토콜로, 임시 키 무결성 프로토콜인 TKIP를 통해 데이터 암호화를 향상시켰다.

- WPA (Wi-Fi Protected Access) 

 

전문가 감정 기법의 주관적인 편견을 보완하기 위해 많은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하여 산정 

- 델파이 기법 

 

은행가 알고리즘(Banker's Algorithm)은 어떤 기법의 교착상태 해결법인가?

-> Avoidance(회피기법)

 

교착상태의 발생 조건 중  이미 자원을 가진 프로세스가 다른 자원의 할당을 요구하는 것은?

-> 점유와 대기(Hold and Wait) 

 

교착상태의 발생 조건 중 이미 자원을 가진 프로세스가 앞이나 뒤의 프로세스 자원을 요구함 

->  환형 대기(Circular Wait)

 

교착상태의 발생 조건 중 프로세스의 할당된 자원은 사용이 끝날 때까지 강제로 빼앗을 수 없음

-> 비선점(Non-Preemption)

 

상호배제, 점유와 대기, 비선점, 환형대기 중 어느 하나를 방생하지 않게 하는 방법

-> 예방(Prevention) 

 

교착상태를 일으킨 프로세스를 종료하거나 교착상태에 있는 프로세스가 점유하고 있는 자원을 선점하여 다른 프로세스에 할당하는 방법

-> 회복(Recovery)

 

Swap 캐시를 거쳐 Swap 영역에서 Swap된 페이지를 로드하는 과정

-> Swap in 

(반대로 저장하는 과정은 swap out)

 

분산 처리 시스템의 분류 중 , 각 사이트가 시스템 내의 모든 사이트와 연결된 구조

-> 완전 연결 구조(망(Network)형) 

 

분산 처리 시스템의 분류 중, 모든 사이트가 하나의 중앙 노드에 직접 연결됨

-> 성형 구조(스타(Star)형)

 

분산 처리 시스템의 분류 중, 각 사이트는 다른 두 사이트와 물리적으로 연결,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정보 전달이 가능

-> 링형 구조

 

표준 C언어 라이브러리 중 , 입출력에 대한 기능을 제공한다

-> stdio.h

 

표준 C언어 라이브러리 중, 여러 수학 함수를 제공한다.

-> math.h

 

표준 C언어 라이브러리 중, 자료형 변환, 메모리 할당에 대한 기능을 제공한다

-> stdlib.h

 

표준 C언어 라이브러리 중, 시간 처리에 관한 기능을 제공한다

-> time.h

 

TCP/IP 프로토콜에서 TCP가 해당하는 계층은?

-> Transport (전송) 계층

 

객체 지향 방법론의 종류 중 유스케이스에 의한 접근 방법으로 유스케이스를 모든 모델의 근간으로 활용되는 방법론

-> OOSE (Object Oriented Software Engineering) 

 

개발될 시스템을 이용해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자의 관점에서 표현한 것

-> 유스케이스(Use Case) 다이어그램

 

럼바우의 객체지향 분석 절차(객동기: 객체모델링->동적모델링->기능모델링), 객체지향 분석, 시스템 설계, 오브젝트 설계 및 구현의 4단계로 구성

-> OMT(Object Modeling Technology)

 

설계 부분만 존재. 부치가 만듦

-> OOD(Object Oriented Design)

 

테스트 커버리지 중, 프로그램 내의 모든 명령문을 적어도 한 번 수행하는 커버리지

-> 구문 커버리지 Statement Coverage

 

프로그램 내에서 전체 결정문이 적어도 한 번은 참과 거짓 결과를 수행하는 커버리지

-> 결정 커버리지 Decision Coverage 

 

결정 명령문 내에서 각 조건이 적어도 한 번 참과 거짓의 결과가 되도록 수행하는 커버리지 

-> 조건 커버리지 Condition Coverage

 

전체 조건식뿐만 아니라 개별 조건식도 참 한번, 거짓 한 번 결과가 되도록 수행하는 테스트 커버리지

-> 조건/결정 커버리지 Condition/Decision Coverage

 

개별 조건식이 다른 조건식에 영향 받도록 구성해 전체 조건식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주도록 변형시킨 커버리지

-> 변경 조건/결정 커버리지 Modified Condition/Decision Coverage

 

결정 조건 내에서 모든 개발 조건식의 모든 가능성 있는 조합을 보장

-> 다중 조건 커버리지 MultipleCondition Coverage 

 

메인으로 부터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며 깊이 우선 또는 너비우선 방식을 이용하는 테스트 기법

-> 하향식 통합(Top Down)

 

하향식 통합(Top Down) 테스트 기법에서 통합되는 모율과 모든 하위 컴포넌트를 대신하기 위해 만든 더미 모듈은?

-> 스텁(Stub)

 

1NF를 만족하고 키가 아닌 모든 속성이 기본키에 대하여 완전 함수적 종속관계를 만족해야한다

-> 1NF -> 2NF

 

정규화 과정에서 A->B이고 B->C 일 때 A->C인 관계(이행적 함수 종속)를 제거하는 단계는?

->  2NF -> 3NF 

 

결정자가 후보키가 아닌 함수 종속 제거

-> 3NF -> BCNF 

 

함수 종속이 아닌 다치 함수 종속제거

-> BCNF -> 4NF

 

UML 모델에서 2개 이상의 사물이 서로 관련된 상태를 표현하는 관계로 사물 사이를 실선으로 연결하여 표현하며, 방향성은 화살표로 표현하는 관계

-> 연관 Association 

 

하나의 사물이 다른 사물에 포함되어있는 관계. 포함하는 쪽과 포함되는 쪽은 서로 독립적인 관계. 포함되는 쪽에서 포함하는 쪽으로 빈 마름모를 연결해 표현

-> 집합 Aggregation 

 

포함하는 사물의 변화가 포함되는 사물에게 영향을 미치는 관계. 서로 독립적이지 못함. 포함되는 쪽에서 포함하는 쪽으로 속이 채워진 마름모를 연결해 표현

-> 포함 Composition 

 

특정 제품에 적용하고 싶은 공통된 기능을 정의하여 개발하는 방법론

-> 제품 계열 방법론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장단점

-> 장점 : 높은 투자수익, 경쟁 우위, 생산성 향상

단점 : 역할 설정을 잘못하면 업무의 지장, 과도한 자원, 유지보수가 어렵다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저장된 데이터 집합에서 사용자 요구에 따라 정보를 발견하기 위한 기법

->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검토 회의 전에 요구사항 명세서를 미리 배포하여 사전 검토한 후에 짧은 결함을 발견 

-> 워크쓰루(Walk Through)

 

자동화된 요구사항 관리 도구를 이용하여 요구 사항 추적성과 일관성을 검토

-> CASE 도구 

 

//////쉘 스크립트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

-> fork

 

특정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퍼미션 수정

-> chmod

 

파일 내용 출력

-> cat

 

특정한 파일을 찾는 명령어

-> find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 현재 디렉터리의 절대 경로 출력

-> pwd

 

a = [0, 1, 2, 3, 4, 5, 6, 7, 8, 9]

a[:7:2] 

-> 맨 처음 인덱스 부터 시작해서 2칸씩 이동 [0,2,4,6]

 

공통모듈의 재사용 범위

  • 컴포넌트
  • 함수와 객체
  • 애플리케이션

 

IPv4에서 IPv6으로 전환방법 (듀터주)

-> 듀얼 스텍(Dual Stack)/ 터널링(Tunneling)/주소 변환(Address Translation)

 

수신 측에서 제대로 수신한 바이트에 대한 확인 응답을 전송할 때마다 버퍼의 범위가 한꺼번에 이동

-> 슬라이딩 윈도 기법 (Sliding Window)

 

프레임이 손실되었을 때, 손실된 프레임 1개를 전송하고 수신자의 응답을 기다리는 방식으로 한 번에 프레임 1개만 전송할 수 있음

-> 정지-대기 기법 (Stop & Wait)

 

//// OSI 계층

링크의 설정과 유지 및 종료를 담당하며 노드 간의 오류제어, 흐름제어, 회선 제어 기능을 수행

->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2

 

응용 프로그램 간의 대화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 토큰을 사용

-> 세션계층(Session Layer) 5 

 

상위 계층들이 데이터 전달의 유효성이나 효율성을 생각하지 않도록 해주면서 종단 간의 사용자들에게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전달(전송)하기 위해 오류 검출과 복구, 흐름 제어를 수행

->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4  TCP,UDP 

 

IEEE 802.3 LAN에서 사용되는 전송 매체 접속 제어(MAC) 방식

-> CSMA/CD 

 

프로세스의 현재상태, 고유 식별자를 가지고 있다

-> PCB 

 

파일의 모드(mode)를 변경 . 파일과 디렉터리의 권한을 변경

-> chmod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

-> 패킷(Packet)

 

유스케이스 사용 시 특별한 조건이 만족할 경우에만 수행하는 유스케이스

-> 확장 (Extension)

 

두 유스케이스 간의 관련성을 보여주며 , 두 유스케이스 간의 연결이 필요하지만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 관계에서 하나의 유스케이스는 다른 유스케이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연관되어 있다. 각 유스케이스가 별도로 실행될 수 있다

-> 연관(Association)

 

두 개의 유스케이스 간의 상속관계를 나타냄. 상위 개념의 유스케이스가 하위 개념의 유스케이스의 특성을 물려받아 확장한다. 이 관계를 통해 유사한 유스케이스를 일반화하여 중복을 줄일 수 있다.

-> 일반화(Generalization)

 

하나의 유스케이스가 다른 유스케이스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공통된 부분을 묶어서 재사용 가능한 기능으로 분리하는데 사용되며 포함되는 유스케이스는 호출되거나 활성화되었을 떄 포함하는 유스케이스의 기능을 수행한다.

-> 포함(Inclusion)

 

사용자의 관점에서 시스템이 수행하는 기능을 처리 흐름에 따라 순서대로 표현한 것 

-> 활동(Activity) 다이어그램 

 

TCP/IP의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

->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패킷의 전송 품질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

-> RTCP(Real-Time Control Protocol)

 

한 개의 통신 회선에 여러 대의 단말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 물리적 구조가 간단하고, 단말 장치의 추가와 제거가 용이. 단말장치가 고장나더라도 통신망 전체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을 높일 수 잇음

-> 버스형(Bus)

 

무선 랜에서 데이터 전송 시 매체가 비어있음을 확인한 뒤 충돌을 피하기 위해 일정한 시간을 기다린 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 회선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확인 신호를 전송하여 동시 전송에 의한 충돌을 예방 

-> CSMA/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ETC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번주  (0) 2024.02.28
정처기 두음법칙  (0) 2024.02.23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정리  (1) 2024.02.16
[정보처리기사] 오답 개념정리  (0) 2024.02.14
[정보처리기사] 오답 개념정리  (1) 2024.02.13